본문 바로가기

주식/시황정리

(10)
중국, 또 다시 대만 도발하면서 긴장감 고조 (feat. 메르님 블로그)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대만해협 관활하는 스이대교가 "대만 주변 해역에서 함선, 항공기 장악 훈련을 위해 해군, 공군 훈력을 시작했다"고 밝힘 - 훈력 목적이 대만 독립 분리주의자들과 외국 세력이 결탁해 도발하는 데 대한 엄중한 경고"라고 언급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 대만 부총통이자 대만 집권여당 민진당의 차기 총통 유력 후보인 라이칭더가 미국 방문 - 민진당은 중국과 대만은 하나가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정당 - 그 정당 소속 사람이자 차기 총통 유력 후보가 미국 방문 - 미국에서 대만은 독립국이라고 란 발언도 함 - 이로인해 중국은 심기가 불편 3️⃣ 그럼 앞으로 어떻게 될까? 1) 내부의 문제를 외부로 - 중국은 현재 부동산 시장 부진으로 상황이 좋지 ..
계속되는 달러 상승, 달러 ETF 사야하나?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달러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 7월 14일 1,264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이 8월 18일 1,343원까지 올랐다. - 한달 사이에 약 6% 오른 것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 미국의 과도한 국채 발행 - 국채를 발행하면 국채 금리는 올라감 - 국채 금리는 시장 금리과 연결되어 있음 - 시장 금리는 돈의 가치를 나타냄 - 금리가 높아지면 돈의 가치도 높음 - 금리가 낮으면 돈의 가치도 낮아음 - 과도한 국채 발행 > 국채 금리 상승 > 시중 금리 상승 > 달러 가치 상승 - 중국이 부동산 침체를 맞아서 위완화 과도하게 발행 - 상대적으로 달러 가치가 상승 3️⃣ 그럼 앞으로 어떻게 될까? - 비구이위완 살린다고 중국 국채 푼다면, 위안..
중국과 인도는 왜 사이가 안 좋을까? (feat. 메르님 블로그)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인도가 GM 인도 공장 인수 건에 대해 중국이 아닌 한국 현대차 손을 들어줌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 중국과 인도와의 사이가 좋지 않기 때문 - 아래는 메르님 블로그 글 내용 토대로 왜 두 국가 간 사이가 안 좋은지 정리 📍 중인 전쟁 - 1962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중국와 인도 사이에서 전쟁 발발 📍 왜 전쟁이 발발했을까? - 전쟁 발발 원인은 티베트로부터 시작 - 중국에서 독립을 원하는 티베트의 대규모 봉기 발생 - 티베트 지도자는 달라이 라마 14세가 중군의 탄압을 피해 인도로 망명가서 망명정부 수립 - 이로 인해 중국과 인도 사이 갈등 증폭 - 1962년 10월 6일 중국이 인도를 공격 - 지리적으론 인도가 유리했으나 ..
현대차 주식 매수 기회? 현대차, GM 인도공장 계약 체결- (feat. 메르님 블로그)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현대자동차가 제너럴모터스(GM) 인도법인의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 계약 체결 - 올해 안으로 인도 정부의 승인 되면 - 현대차인도법인이 GMI 탈레가온 공장의 특정된 대지 - 그리고 설비에 대한 권리를 완전하게 취득 예정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 세계 최대 규모 인구를 보유한 인도 - 지난해 신차 476만대가 판매되며 중국(2320만대), 미국(1420만대)에 이어 -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에 올랐다. - 현대차가 인도 자동차 시장의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 인도 내 적극적인 전동화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 인수 추진한 것으로 예상 3️⃣ 그럼 앞으로 어떻게 될까? - 매수 할 사유는 아니라고 생각 - 일단 인수가 확정된 것이 아님 - 또한 ..
제 2 금융위기? '빅쇼트 주인공' 미국 증시 붕괴에 '2조원' 베팅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빅쇼트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CEO인 사이언매니지먼트가 S&P500과 나스닥100지수 약세장에 2조원 베팅했다. - 즉 미국 증시 붕괴에 배팅한 것 - 마이클 버리는 2008년 금융 시장 붕괴 예측한 인물이기도 함 - 물론 예측이 틀린 적도 있음 - 23년도 1월에 주식 매도하라고 했는데 오히려 23년도 주식 시장 상승했음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 마이클 버리가 왜 미국 증시 붕괴에 배팅했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 1) 주식 시장 과열 - 미국엔 인플레가 높고, 이 인플레를 누르기 위해 금리를 인상해 옴 - 금리가 오르면 주식은 보통 하락함 - 금리가 오른다는 건 돈을 빌릴 때 대출 이자도 높아짐 - 기업이 대출을 받아서 공장이..
중국 부동산 디폴트 위기, 결국 터지는 건가? - 비구이위완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완이 달러 표시 채권의 이자 296억원 미지급 - 비구이위완이란? - 비구이위완은 2017년~2022년 동안 매출 기준으로 중국 1위 부동산 개발업체임 - 신규 주택 판매 기준으로 지난 5년 연속 1위 - 30일간의 유예 기간 안에 이자 지급못하면 디폴트에 빠짐 - 순손실은 60억 위안으로 상장 후 첫 적자를 냄 - 상반기 순손실 8조~10조로 전망 - 디폴트 막기 위해 역내 채권 거래 중단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 하지만 공격적인 확장으로 시장 침체의 직격탄을 맞음 - 비귀위안의 작년 매출은 전년보다 17.7% 감소 3️⃣ 그럼 앞으로 어떻게 될까? - 비구이위안을 비롯한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무너지면 중..
사드 보복 6년 만에 단체 관광 푼 중국, 어째서?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10일 중국 문화여유부가 발표한 해외 단체여행 허용국 명단에 한국·일본·인도 등 아시아 12개국이 포함됐다. - 한국인들의 중국 방문에 큰 허들로 지적받아 온 지문채취도 올 연말까지 면제하기로 했다. - 중국은 이에 앞서 그간 막혔던 한국과의 서해안 국제여객선(카페리) 승객 운송도 재개했다.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상황에 대한 타개책 마련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 전날 발표된 중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0.3%(전년 동월 대비)로 2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 생산자물가지수(PPI)도 -4.4%로 10개월 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 지난 6일 발표된 수출성적표도 최악이다..
국제 유가 또다시 상승세, 유가에 투자할 시기인가?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1️⃣ 무슨 일이 일어났나? - 국제 유가와 곡물 가격 상승 - WTI는 5월 초 기준 30% 가량 올랐다. 4월 12일 이후 최고치 기록 2️⃣ 왜 그 일이 발생했는가? 1) 러, 우 전쟁 여파 - 8월 4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주요 원유 수출항인 노보로시스크 공격 - 노보로시스크는 세계 원유 공급량의 2%를 수출 - 셰브런과 엑슨모빌이 생산하는 카자흐스탄산 원유도 하루 150만 배럴이 노보로시스크를 통해 수출됨 - 러시아 해상무역의 17%를 차지하는 노보로시스크는 곡물 수출의 중심지임 2) 산유국이 감산을 유지 - 사우디는 3일 하루 10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다음달까지 연장 - 러시아는 원유 수출을 하루 30만 배럴 줄일 방침 3) 미국 긴축 마무리 중국 경기 부양..
[시황정리] 06.12(Sun) - 인플레는 어디까지 갈까? 1. 인플레, 높아도 너무 높다. 에너지와 월세가 급등함으로서 인플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플레에 배팅하고 싶지만 시장은 계절성을 띄기 때문에 이 이후의 시장을 차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금리 인상이 자이언트 스탭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금을 사기 좋지 않아 보인다. 달러 투자? 주/ 2. 중국 규제 완화될까? 중국의 엔트 그룹 규제 완화. 하지만 이를 보고 3. 페이팔의 비트코인 송금 암호화폐 결제를 도입하는 페이팔. 사람들이 가치있다고 믿는 것에는 모두 돈이 되기 때문에 비트 코인 투자 자체는 전체의 5%로 가져가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시황정리] 06.09(Thur) 영원히 마스크를 써야하는 세상이 올까? 1. 원숭이 두창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가 잠잠해진 사이에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로 세간이 시끄럽다. 원숭이 두창이 아니더라도 기후 위기로 인해 온도 상승이 가파라지면 동토 바이러스 전파 위험도 있기 때문에 결국 코로나가 마지막이 아닐 수 있을 확률이 높다. 화이자 사려했더니 너무 높아서 엄두가 안난다. 2.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보류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를 보류할 수도 있다는 소식이 터졌다. 트위터 주주가 아니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본인의 존재를 잘 알리는데 천부적인 재능이 있는 사람이란 생각이 든다. 3. 상하이 재봉쇄 상하이의 일부 지역이 다시 재봉쇄에 들어갔다고 한다. 경제적 타격이 상당할 텐데도 제로 코로나를 고수하는 중국 당국의 입장이 이해가 가긴 한다. 중국 자체는..